본문 바로가기

안질환·눈종합정보/기타

[부산안외상치료] 눈에 혈액이 고이는 안질환, 전방출혈

눈에 혈액이 고이는, 전방출혈

 

 

안녕하세요 눈 치료 잘하는 부산 수정안과입니다^^

오늘은 안외상 중에서 전방출혈에 대해 포스팅 할게요.

 

많은 분들이 전방출혈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 정확히 어디에 출혈이일어나는 증상인지 잘 모르실 것 같아요.

 

 

눈의 수정체와 각막 사이에는 투명한 물이 흐르는 전방이라는 공간이 있어요.

평소 이곳에는 방수라고 하는 액체가 생성과 배출을 반복하여 안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됩니다.

그러나! 눈이 충격을 받게 되면 홍채나 섬모체의 혈관이 터질 수 있고, 전방 내로 혈액이 고일 수 있는데 이를 전방출혈이라고 합니다.

 

 

 

 

 

 

 

전방출혈 증상

 

전방출혈이 발생하면 통증이 생기거나 출혈이 심할 경우 시야가 흐려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현미경적 검사를 하면 출혈이 보이는 경우도 있어요.

증상이 없더라고 안구에 충격이 가해졌다면 꼭! 안과에 가셔서 전문의에게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

 

 

 

 

 

  

 

전방출혈은

육안적 전방출혈, 미세전방출혈로 분류합니다.

 

 

육안적 전방출혈은 세극등 현미경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육안으로 출혈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이며 시야가 많이 흐려지고통증을 호소할 수 있어요.

 

 

이 경우 상체를 약 30도 정도 세운 채로 침상 안정을 유지하여 전방내의출혈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염증을 줄이기 위한 스테로이드 안약을 점안하는 데요, 치료에서 가장중요한 안약이지만 스테로이드가 안압을 올려 녹내장을 유발할 수도 있어 점차 증상이 좋아지면 점안 횟수를 줄여야 해요.

안과 전문의의 지시를 따라 약을 잘 넣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방 출혈이 심하면 방수 유출길을 막아 안압이 올라 갈 수 있으므로 안압약도 점안합니다.

안압이 높이 상승하게 되면 안압상승을 막는 약을 주사하여 안압을 빨리 떨어뜨려 주어야 해요.

소아의 경우 입원이 필요할 수 있어요.

 

 

 

 

전방출혈 수술

각막이 출혈에 의하여 착색이 되거나, 8일 이상 치료해도 반 이상의감소를 보이지 않을 때, 안압을 낮추려는 치료를 계속 함에도 불구하고 계속 안압이 높게 유지될 때에는출혈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어요.

 

 

 

 

 

 

 

 

미세전방출혈은 시력에는 변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별한 증상은 없더라도 세극등 현미경 검사상 출혈 및 염증소견이 보이는 경우를 말하며, 치료는 전방출혈과 동일하지만 경과가 훨씬 양호합니다.

 

 

전방출혈이 발생하면 3~5일에는 재출혈의 빈도가 가장 높으므로 안정하는것이 좋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