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질환·눈종합정보/안구건조증

건조한 가을철, 촉촉하게 눈 관리하기 / 안구건조증 관리 / 부산 수정안과

수정안과 2014. 9. 26. 09:16
건조한 가을철, 촉촉하게 눈 관리하기 안구건조증 관리 


안녕하세요 촉촉한 눈, 안구건조증 치료 잘 하는 수정안과입니다.


습하던 여름이 지나고 건조한 계절.. 어느덧 가을이 왔네요.
가을에는 여름보다 습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우리는 건조함을 많이 느끼게 되는데요, 이 때 관리를 잘 해주지 않으면
눈이 건조해서 안구건조증에 걸리기 쉽답니다.

눈이 너무 건조하면 각종 안질환의 위험에 많이 노출되는데요, 눈이 피곤하고 뻑뻑하며 침침함 등과 같은 증상이 느껴진다면
실내 습도를 높여주고, 방부제가 없는 인공눈물을 점안하여 눈을 촉촉하게 관리해 주세요.







안구 건조증이란?

보통 안구건조증이라 하면, 눈물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실 거에요. 
눈물이 부족해도 건조증에 걸리지만, 눈물의 양이 충분하더라도 지나치게 빨리 증발하면서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면 각막 표면이 손상되고 그로인해 눈이 시리고 자극감, 이물감, 건조감이 느껴질 수도 있어요.

즉,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빨리 증발하면서 눈이 건조해 지는 것을 안구건조증이라고 합니다.


내가 안구건조증일까?? 궁금하신 분들 계실거에요. 

안구건조증 증상은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들거나, 따갑거나 쑤실수도 있어요. 눈의 침침함을 느끼며 빛에 예민해 집니다. 심할 경우에는 앞을 보기가 힘들어집니다.

위의 증상은 건조증이 심해졌을 때의 증상이고 초기에는 눈이 뻑뻑하고 쉽게 피로해지며 이물감이 듭니다.





안구건조증 원인
안구 건조증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어요.
대개는 나이가 들면서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신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년 여성분들과 고령의 어르신들께 흔히 발견이 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컴퓨터 작업과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눈 깜박임의 횟수가 줄어들게 되어 눈이 메마르게 됩니다.
이로인해서 안구건조증에 많이 걸리게 되는데요, 
뿐만 아니라 눈꺼풀 염증과 눈가의 염증으로 지방분기에 장애가 생겨 눈물이 빨리 증발하는 경우와 콘택트 렌즈의 과도한 사용으로 안구건조증이 걸리기도 합니다.


안구 건조증에 적절한 치료없이 오랫동안 생활습관을 개선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만성결막염, 안검염, 각막이물각막염, 각막궤양, 각막손상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요.
눈의 건조함이 심하게 느껴진다면 주저말고 안과로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답니다.





건조한 눈 관리하기

- 적절한 실내온도, 습도 유지
잦은 환기도 잊지 마세요. 건조하다면 가습기를 특어 주변환경이 건조하지 않게 해주세요.

- 콘택트렌즈 보다는 안경 사용
콘택트렌즈는 산소 투과율이 낮아서 아무리 눈이 건강한 사람이라도 저 산소층이 생길 수 있어요.
눈물을 빼앗아 안구건조증을 유발합니다.
8~10시간 이상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 눈에 수분을 주세요.
물을 자주 마셔 수분을 공급해 주세요.
수분이 부족하면 눈 뿐만 아니라 모든 신체 세포에 영양과 산소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해 건강이 나빠질 수 있어요.

- 반영구 아이라이너, 속눈썹 연장술 NO!
반영구 아이라이너와 속눈썹 연장술은 눈과 바로 맞닿아 있는 속 눈썹을 중심으로 안구 안쪽에 기름샘에서 분비물이 배출되는데 이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눈을 건조하게 만듭니다.

- 눈을 자주 깜박여주세요.
눈을 자주 깜박이지 않으면 눈물이 말라서 건조해 집니다. 의식적으로 자주자주 깜박여주세요.



오늘은 안구건조증이란 무엇인지 증상과 예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안구건조증은 적절한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점점 심해져서 합병증이 올 수 있어요.
잊지마시고, 눈이 건조하면 부산 덕천동 수정안과로 내원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