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망막병증] 고혈압 합병증, 고혈압 망막병증 증상과 치료방법
고혈압 합병증 "고혈압 망막병증"
고혈압의 원인으로는 비만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특정한 이유 없이 혈압이 높은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고혈압으로 혈압이 계속 높아지면 혈관을 이루고 있는 근육과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망막에 혈액이 고여 시력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증은 고혈압을 갖고 있는 기간과 관계가 깊은데, 일반적으로 기간이 15년 이상이면 망막증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즉, 고혈압 병력이 오랜 기간 지속되어야 안저 소견에 변화가 생기고 시력이 저하될 수도 있는데요, 그 전에 고혈압을 조절하여 고혈압성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을 예방해야 겠죠?
고혈압의 합병증인 고혈압성 망막병증이란??
망막이란, 사진기의 필름에 해당되는 얇은 신경조직으로 안구의 뒤쪽 내벽에 붙어 있습니다. 눈에 들어오는 빛이 각막과 수정체에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게 됩니다. 고혈압이 진행하면 이러한 눈의 망막혈관에도 변화를 초래하며 망막의 출혈, 삼출액, 유두부종 등이 나타나서 시력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고혈압성 망막증이라고 합니다.
우리 눈의 망막은 혈관을 직접 관찰 할 수 있는 몸의 유일한 부위인데요, 고혈압성 망막증의 진행정도는 망막 혈관에서 관찰할 수 있으므로 고혈압 환자는 정기적으로 안과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형광물질을 혈관에 주사하여 망막을 특수 촬영하고, 망막 손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성 망막변성의 치료
약물치료와 레이저 치료로 나눌 수 있어요.
약물치료는 원인이 고혈압이므로 혈압을 낮추는 약물 요법이 가장 중요합니다. 혈압을 낮춤으로써 세동맥의 변화나 출혈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급성 증상은 혈압이 떨어지면 좋아지지만 만성 합병증은 혈압 조정만으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만성 합병증으로는 혈관의 동맥경화성 변형으로 꽈리 모양변화, 망막부종, 망막 정맥 또는 동맥의 폐쇄 등이 합병되며, 초지체 출혈로 발전되기도 합니다.
레이저 치료는 병변이 있는 망막의 일부를 레이저로 응고시키고, 출혈의 흡수를 돕도록 하여 망막 박리와 실명을 예방하는 치료법입니다.
노년기 대표 안질환이던 망막 장애 질환이 최근 젊은 층에서 급증하고 있어요.
그 동안 망막장애 질환은 당뇨나 고혈압 환자에게 흔한 질환으로 인식되어 왔는데요, 망막장애를 겪는 10대 환자가 4년전보다 119% 증가했다고 합니다.
신선한 과일과 채소의 섭취를 높이고 외출 시 선글라스 착용과 근거리에서 책을 읽거나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시기바랍니다. 또 한달에 한번은 한쪽 눈을 가리고 사물을 쳐다본 상태에서 변화가 있는지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수정안과에서는 망막센터를 일찍부터 특화하여 전문의와 장비를 꾸준히 보강해온 결과 우수 망막치료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망막치료/수술 잘하는 수정안과에서 망막 진료 안심하고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