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시력이란? 저시력 증상과 이해
안녕하세요 부산 수정안과입니다.
오늘은 저시력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저시력이란, 안경아나 콘택트렌즈, 약물치료나 수술적 처치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시력이 안나오는 눈의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들은 낮은 시력, 협소한 시야, 혹은 큰 암점을 가질 수도 있고 눈부심이나 비정상적인 색깔 인식 등으로 어려움을 겪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저시력 환자는 대략 50만 명 정도로 추산되며, 특히 65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흔합니다.
시력을 잃는 것이 노화현상??
시력을 잃는 것은 노화현상이 아닙니다.
눈의 노화는 수정체가 노화가 진행되면서 비대해지고 딱딱해져서 굴절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수술적 치료나 안경으로 교정이 충분히 가능하답니다. 저시력은 치료를 받아도 시력이 안나오기 때문에 노화현상과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저시력의 원인은 망막질환(망뇨망막병증, 황반변성 등), 백내장, 녹내장과 같은 질환과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 때문에 발생합니다. 또안구 외상이나 선천적으로 저시력이 되기도 한답니다.
약시와 저시력
많은 분들이 약시와 저시력을 혼동하시는데요, 약시란 적절한 시자극의 결핍으로 시기능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약시가 저시력에 포함될 수는 있지만 모든 약시가 저시력이 되는 것은 아니에요.
어린이의 저시력
우리는 일상생활을 할 때 약 80% 이상을 눈을 통해 생활합니다. 따라서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어린이는 많은 것들을 보고 관찰하고 느끼면서 점차적으로 지적,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저시력 어린이들은 일반 아이들보다 저하된 시력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어요.
부모님들은 저시력 아이에게 많은 것은 이야기 해주고, 느끼게 해주어 다른 감각을 사용하여 시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저시력의 증상은 무엇일까?
저시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지만 친구나 친척들의 얼굴을 알아볼수 없습니다.
또 책을 읽거나 요리, 사물을 보는 것 등 일상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조명이 어둡다고 느끼며 길 주소나 버스 번호 또는 가게 이름을 읽는 것이 불편하답니다.
이런 증상을 겪으신다면 안과로 가셔서 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은 눈 검진이 꼭 필요하답니다!
1. 어두운 방에 적응이 어려움
2.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움
3. 빛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여 눈 깜빡임.
4. 홍채 색깔의 변화
5. 눈 주위의 충혈, 부종
6. 눈 주위의 반복적인 통증
7. 물체가 겹쳐 보임
8. 선이나 가장자리 부위가 뒤틀려 보임
9. 과도한 눈물흘림이 있음.
10.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을 동반한 안구의 건조함
11. 유령처럼 보이는 점이나 이미지가 느껴짐
12. 갑작스런 한 눈의 시력상실
13. 시야의 일부가 어두워지거나 또는 번쩍임
14. 빛 주위의 무지개 또는 달무리
15. 커튼을 가린 것 같이 좁아진 시야
16. 주변부 시야의 상실
저시력인들은 생활하기 편하도록 주변 환경을 밝게 해주거나 자주 사용하는 물건에 튀는 색상의 스티커를 부착해주세요.
안 보이는 시력으로 인해 불편하지 않게 최대한 변화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서를 할 때는 독서대를 사용해 근거리 작업으로 인한 피로를 덜어주세요.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데요,
글씨나 글체를 확대하여 보는데 도움을 주는 광학기구인데요, 눈질환을 악화시키거나 시력저하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저시력이신 분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현미경, 집광확대경, 스탠드확대경, 손잡이 확대경, 망원경등이 있어요.
근거리용, 중간거리용, 원거리용 등으로 다양하게 있어 용도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질환·눈종합정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YE 촉촉 프로젝트-수정안과의 안구건조증 극복 STORY 2 / 안구건조증 원인 (0) | 2014.10.16 |
---|---|
EYE 촉촉 프로젝트-수정안과의 안구건조증 극복 STORY 첫번째 이야기/부산안구건조증 (0) | 2014.10.14 |
비정상적인 눈물의 흐름, 눈물흘림증 치료, 눈물길 치료 / 부산덕천수정안과 (0) | 2014.09.26 |
건조한 가을철, 환절기 눈 건강 지키기! (0) | 2014.09.02 |
[부산안과] 다래끼란? 수정안과의 다래끼 증상과 치료방법 (0) | 2014.08.13 |